
📖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have'라는 단어를 정말 자주 만나게 돼죠. 그런데 막상 사용하려고 하면 "가지다" 말고는 어떻게 써야 할지 헷갈린 적 없었나요?" 🤔 have는 정말 쉽지 않는 녀석이거든요~
📌 'Have'는 단순하지가 않아요!! (동사, 조동사, 시제 보조, 사역동사 ....)
✔️ 소유, 경험, 식사, 의무 표현뿐만 아니라
✔️ 완료형, 사역동사, 진행형 불가 원칙까지 문법적으로 다양한 역할을 하죠! 이 말인 즉, 시험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손님이란 이야기죠~ ^^
✔️ 역사적 배경까지 알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요?
오늘은 'Have'의 모든 쓰임을 한 번에 정리하면서, 왜 그렇게 쓰이는지까지 설명해볼게요! 🚀
1️⃣ 일반 동사로서의 'Have'
✅ 'Have'는 가장 기본적으로 "가지다"라는 의미를 갖는 일반 동사입니다.
1) 소유 (Possession)
✔️ I have a car. (나는 차를 가지고 있어.)
2) 경험 (Experience)
✔️ (She has a new job. → 그녀는 새 직업이 있어.)
3) 먹고 마시다(Eat, Drink)
✔️ (Let's have lunch. → 점심 먹자.)
💡 Tip: 3인칭 단수 현재형에서는 "has", 과거형은 "had"로~
📌 진행형과 'have'의 관계
진행형을 배우면서 have는 진행형으로 사용 못한다고 들으셨던 기억이 있으시죠? 동사는 보통 동작동사, 상태동사 두 가지로 나뉩니다. 이때, 동작동사는 진행형이 가능하지만, 상태동사는 진행형이 불가능하죠.
✅ 동작 동사 (Action Verbs) → 진행형 가능
- go, eat, study, run, write 같은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들은 진행형으로 표현 가능.
👉 I am eating pizza. (나는 피자를 먹고 있어.)
✅ 상태 동사 (State Verbs) → 진행형 거의 불가
- 감정, 소유, 상태 등을 나타내는 동사들은 진행형으로 잘 안 써요. (대표적인 예: have, know, like, love, believe, understand...)
👉 ❌ I am having a car. (X) → 🚀 I have a car. (O)
📌 자! 그렇다면 왜 have는 진행형으로 안 쓰인다고 할까요?
'Have'는 원래 소유(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라서!
- 진행형은 "지금 이 순간" 어떤 동작이 일어나고 있음을 강조하는데, 소유(상태)는 특정 순간만의 것이 아니라 계속 유지됨! 그래서 "나는 지금 차를 가지고 있는 중이다"라고 말하는 게 어색한 거죠.
❌ I am having a car. (X) ✅ I have a car. (O)
💡 그런데!! 'Have'가 특정한 의미로 동작,행동을 나타낼 때는 진행형이 가능하답니다! 그래서 시험에서 그냥 'have'만 보고 답을 결정하지 못하는거에요~
✔️ We are having dinner. (우리는 저녁을 먹고 있는 중이야.)
✔️ She is having a shower. (그녀는 샤워 중이야.)
✔️ I am having fun! (나 재밌게 놀고 있어!)
✔️ We are having dinner. (우리는 저녁을 먹고 있는 중이야.)
'have'가
"소유" 의미로 사용하면 진행형 불가!
"행동" 의미로 사용하면 진행형 가능! 😊
2️⃣ 조동사로 쓰이는 'Have to' (의무 표현)
'Have'가 "have to + 동사원형" 형태로 쓰이면 "~해야 한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 의미: Must와 비슷하지만, 조금 더 부드러운 느낌(외부의 규칙이나 필요성에 의해 해야 할 때 사용)
✅ 예문:
✔️ I have to study for the test. (나는 시험 공부를 해야 해.)
✔️ She has to go to work early. (그녀는 일찍 출근해야 해.)
✔️ We had to leave early. (우리는 일찍 떠나야 했어.)
3️⃣ 완료 시제에서의 'Have'
'Have'는 완료 시제를 만들 때도 사용돼. "have + 과거분사" 형태로 쓰여요. 과거분사(p.p)는 수동과 완료의 의미로 사용한다는 것을 알지만 그런데 갑자기 'have'가 나타났을까요?
✅ 완료형의 기원/역사적 배경
영어의 완료형은 라틴어와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았어요. 라틴어와 프랑스어에는 소유 동사를 사용한 완료형 표현이 있었고, 이게 영어로 들어오면서 'have'가 완료형을 만드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어요.
📌 라틴어
- Habeo scriptam epistolam. (나는 편지를 써놓았다.)
- Habeo = have, scriptam = written, epistolam = letter
- 직역하면 "나는 편지를 가지고 있다 (이미 쓰인 상태로)"
과거분사(p.p)가 완료의 의미를 가지죠. 그 과거의 결과를 현재/지금 'have(가지고 있는 상태)'를 말하기 위해 have p.p(완료형)가 만들어진거죠!
📌 다시말해, 'have'는 원래 "가지다"였지만, 과거의 결과(=과거완료 p.p)를 현재/지금 "가지고 있는 상태"를 강조하면서 완료형이 된 거에요! 그래서 완료형 문장은 두개의 문장으로 나눌 수 있는거죠. '과거의 사건 + 현재 영향이 있는 상태'로 말이에요. 이 부분은 나중에 완료를 다루면서 이야기 나눌께요~
4️⃣ 사역동사 'Have' (시키다)
'Have'는 "시키다, 하게 하다"라는 의미인 사역동사로도 사용됩니다. 'Have'가 왜 "시키다"라는 의미가 됐을까요?
📌 고대 영어에서 'have'는 "가지다"뿐만 아니라 "얻게 하다, 시키다"의 의미도 있었어요.
- 예를 들어, "내가 어떤 일을 가지도록 만들다" → "그 일을 시키다"가 된 거죠.
📌 중세 영어 (~1300년경)
- He had his men build a house. (그는 부하들에게 집을 짓게 했다.)
- 여기서 'have'가 "시키다"의 의미로 사용됨.
✅ 사역동사로 발전한 이유
'Have'는 원래 "소유"를 뜻했기 때문에 "어떤 사람에게 어떤 일을 하게 만드는 권한이 있다"는 개념으로 발전한거죠. 즉, 'have'는 단순히 "가지다, 소유하다"에서 물건 뿐만 아니라 "어떤 행동"을 소유하다 → 즉 "그 행동을 하도록 시키다"로 발전한 거죠. 노예들을 소유물로 여겼던 시대/문화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조금 더 빠르지 않을까요?
✔️ I had my friend fix my phone.
→ (나는 친구가 내 폰을 고치게 했다.)
✔️ She had her hair cut.
→ (그녀는 머리를 자르게 했다.)
💡 포인트: 고대 사회에서 소유와 권한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누군가가 "어떤 물건"이나 "어떤 일을 소유"하고 있다면, 그것을 다룰 수 있는 권리(owner’s authority)를 암시했고, 나아가 다른 사람에게 그 일이나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는 권한도 포함되었습니다.
✅ 사역동사 'have'의 쓰임
1) Have + 목적어 + 동사원형 → (목적어가 동작을 하게 하다)
✔️ I had my friend fix my phone. (나는 친구에게 폰을 고치게 했어.)
✔️ She had the waiter bring some water. (그녀는 종업원에게 물을 가져오게 했어.)
2) Have + 목적어 + 과거분사 → (목적어가 ~되도록 시키다) (*과거분사: 수동,완료의 의미*)
✔️ I had my hair cut yesterday. (나는 어제 머리를 잘랐어.)
✔️ She had her house painted last week. (그녀는 지난주에 집을 칠하게 했어.)
💡 Tip: 사역동사에는 have말고도 make, let도 있어요.
🎯 'Have' 너란 녀석 쉽지 않구나~
'Have'는 단순히 "소유하다"라는 의미에서 시작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완료형, 의무 표현, 사역동사 등 다양한 역할로 확장된 영어의 핵심 동사입니다. 'Have'는 단순히 문법적으로 중요한 동사를 넘어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영어의 역사와 문화적 변화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단어이기도하죠. 그 기원과 발전 과정을 이해한다면, 단순한 단어를 넘어선 영어의 구조와 사고방식까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겠죠? 😊
"언어는 역사의 거울"이라는 말처럼, 'have'를 통해 영어의 풍부한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떠올리며, 언어 학습이 단순히 도구를 넘어 하나의 문화적 여행이 시작되는 출발선이 되길 기대해봅니다 ^^
이 글이 처음 영어를 배우거나, 아이들의 영어공부를 돕고자하는 부모님들께 더 풍부한 이해와 깊이를 제공했기를 바라며,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함께 소통해요^^ ✍️ 🚀! 😊

'영어문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d vs. well 헷갈리지 않게 끝내기! (0) | 2025.04.04 |
---|---|
명령문(Imperative Sentence) (0) | 2025.04.03 |
현재분사 vs 과거분사 연습문제 (0) | 2025.04.02 |
과거분사에서 시작되는 수동태과 완료 (0) | 2025.04.01 |
현재분사에서 시작되는 진행형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