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동사의 과거형을 암기하면서 갑자기 튀어나온 p.p가 바로 과거분사입니다. 마음의 준비도 없이 외웠던 p.p형 그리고나서 이어지는 수동태, 현재완료를 배우면서 외웠던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셨죠? ^^ 수동태와 완료형을 배우기 전에 과거분사를 이해했다면 더 좋았을텐데요.
그래서 과거분사(Past Participle)에 대해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 현재완료뿐만 아니라 수동태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과거분사를 익히는 것이 핵심이거든요. 과거분사는 단순히 '동사 뒤에 -ed를 붙이는 것'만 생각하지 마시고, "동사가 형용사로 변신해 완료된 상태나 수동의 의미를 더 해준다"고 생각해 주세요. 😊
"과거분사" = "완료, 수동의 의미"
1. 분사(Participle)의 어원
과거분사(Past Participle)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분사(participle)의 어원을 살펴보면,
- Participle은 라틴어 participium에서 유래했으며,
- "part-"(부분) + "cipere"(취하다, 잡다)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 즉, 'participle'이란 "동사의 한 부분(혹은 전체)을 가져와 다른 용도로 쓰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앞에 'past'가 붙었다는 건 과거동사의 느낌을 가져간다는거지 시제를 말하는건 아니에요. 과거분사는 동사가 완료되거나 수동의 상태를 표현하도록 변신을 돕는 도구에 해당됩니다. 😊
💡 한마디로?
과거분사는 동사의 일부를 가져와 형용사처럼 사용하면서, 완료 또는 수동의 의미를 부여하는 형태 라는 뜻입니다!
🔹 동사가 과거분사로 변화하는 과정
동사
|
일부분 혹은 전체 + ed
|
현재분사
|
|
love
|
lov
|
+ ed
|
loved
|
walk
|
walk
|
+ ed
|
walked
|
work
|
work
|
+ ed
|
worked
|
finish
|
finish
|
+ ed
|
finished
|
➡️ '~ed' 만드는 자세한 설명은 아래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2. 과거분사의 기본 개념
📌 과거분사의 정의:
- 동사의 3단 변화형으로, 동사에서 파생되며 완료된 동작이나 수동적인 상태를 나타냅니다.
- 문장에서 형용사 역할을 하며, 명사를 수식하는 자리와 보어자리에 쓰입니다. 또한, 완료 시제와 수동태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 과거분사의 특징:
- 대부분 규칙 동사는 동사 원형에 "-ed"를 붙여서 만듭니다.
- 반면, 불규칙 동사에서는 동사마다 고유한 형태로 과거분사가 생성됩니다(예: written, broken, gone 등).
"과거분사" = "완료, 수동의 의미"
📌 주의할 점! (일반동사의 과거형 vs 과거분사)
🔸 일반동사의 과거형과 과거분사의 모양은 동일 하지만, 쓰임이 다르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 과거형 → "과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 과거분사 → "완료"나 "수동"의 의미를 전달하며 형용사 역할
💡 과거동사와 과거분사는 문법적 쓰임이 달라요~ 모양이 같다고 혼동하지 말아요~
3. 과거분사의 쓰임
✅ 1) 완료 시제에서 사용되는 과거분사
과거분사는 "have/has/had + p.p" 형태로 완료된 동작 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have/has/had + 과거분사(p.p)
- I have finished my homework. (내 숙제를 끝냈다.)
- She had already eaten dinner when I arrived. (내가 도착했을 때 그녀는 이미 저녁을 먹었다.)
➡️ "have + 과거분사"가 왜 필요할까?
✅ "have"가 없으면 현재와의 연결이 불가능하기 때문이에요!
"I eaten lunch." ❌ (문법적으로 틀림 - 과거분사는 동사가 아니에요!)
"I have eaten lunch." ✅ (과거와 현재 연결)
✅ 2) 수동태에서 사용되는 과거분사
과거분사는 "be동사 + 과거분사" 형태로 수동의 의미 를 전달합니다.
be동사 + 과거분사(p.p)
- The cake was baked by my mom. (그 케이크는 엄마가 구우셨다.)
- The problem will be solved soon. (문제가 곧 해결될 것이다.)
➡️ 주어가 직접 행동하지 않고, 어떤 동작을 "받는" 상황에서 사용돼요!
4. 감정을 나타내는 분사 표현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를 구별하는 문제가 나오면 어려움이 있어요. 그나마 감정을 나타내는 분사면 구별방법은 있죠!
현재분사(-ing) → 감정을 유발하는 대상/사람
과거분사(-ed) → 감정을 느끼는 사람
과거분사 (-ed)
|
뜻
|
현재분사 (-ing)
|
뜻
|
interested
|
흥미를 느끼는
|
interesting
|
흥미롭게 하는
|
bored
|
지루한
|
boring
|
지루하게 만드는
|
excited
|
신난
|
exciting
|
신나게 하는
|
confused
|
헷갈리는
|
confusing
|
헷갈리게 하는
|
amazed
|
놀란
|
amazing
|
놀라운
|
shocked
|
충격을 받은
|
shocking
|
충격적인
|
touched
|
감동한
|
touching
|
감동적인
|
frustrated
|
답답함을 느끼는
|
frustrating
|
답답하게 하는
|
terrified
|
무서운 느낌을 받는
|
terrifying
|
무섭게 하는
|
tired
|
피곤한
|
tiring
|
피곤하게 하는
|
disappointed
|
실망한
|
disappointing
|
실망시키는
|
💡 정리하자면?
🎯 과거분사(-ed) → 감정을 느끼는 사람!
🎯 현재분사(-ing) → 감정을 유발하는 대상!
📌 감정을 나타내는 분사모음.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
마무리
📌 오늘 함께 살펴본 과거분사(Past Participle)는 단순히 동사에 '-ed'를 붙이는 형태로 끝나지 않아요. 과거분사는 완료, 수동의 의미를 포함하며 형용사 역할도 하므로 영어 문장을 보다 명확하고 생동감 있게 만들어 줍니다.
여기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혹시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질문해 주세요.
영어학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는 간절한 마음을 담아 찾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

'영어문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ve 동사 제대로 알기 (소유, 완료, 사역… ) (0) | 2025.04.02 |
---|---|
현재분사 vs 과거분사 연습문제 (0) | 2025.04.02 |
현재분사에서 시작되는 진행형 (0) | 2025.03.31 |
명사의 복수형, 왜 이렇게 제멋대로야?! (0) | 2025.03.29 |
의문사를 포함한 의문문 정리 (직접의문문)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