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를 공부하면 할 수록 영어는 쉽다는 생각이 들어요. 영어 문법에서 "수(number)"란, 명사가 얼마나 많은지를 나타내는 문법 개념이에요. 한 개면 단수(singular), 두 개 이상이면 복수(plural)라고 부르죠. 간단하지만 영어에서는 정말 중요한 개념이랍니다!
한개 = 단수
두개 이상 = 복수
이렇게 간단한 단수와 복수인데, 토익을 비롯한 여러시험에서 많이 힘들었던 경험이 있으시죠? ^^;; 이 개념이 낯설게 느껴지는 건, 우리말은 명사의 수에 따라 문장 구조가 크게 달라지지 않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영어에서는 명사뿐만 아니라, 동사, 관사, 대명사 등도 명사의 수에 따라 형태가 바뀌는 경우가 많아서 문법적으로 매우 중요한 부분이에요.
"단수와 복수를 나누는 것은
영어에서 아주 아주 중요하답니다"
익숙하지 않다고 무시하면 안되는 '단수와 복수'
1. 단수와 복수의 기본 구분 (명사)
✅ 단수 (Singular)
- 하나만 있는 상태를 단수라고 해요.
- 보통 관사 a/an과 함께 쓰여요. (* an: 뒤에 나오는 단어가 모음발음일때)
- 주어가 단수일 땐 동사에 '-s, -es'가 붙어요.
✅ 복수 (Plural)
- 두 개 이상을 복수라고 해요.
- 명사에 -s/-es를 붙여서 만들어요.
- 주어가 복수일 땐 동사에 '-s, -es'가 붙지 않아요.
* 영어에서는 주어가 단수인지 복수인지에 따라 동사의 형태도 달라지는데, 이걸 주어-동사 수일치(subject-verb agreement)라고 불러요. 예를 들어, He runs. (단수 주어 → 동사에 -s), They run. (복수 주어 → 동사 원형 사용)
단수 주어 -> 단수 동사
복수 주어 -> 복수 동사
2. 명사 복수형 만드는 규칙
유형
|
방법
|
예시
|
일반형
|
-s 붙이기
|
pen → pens, girl → girls
|
-ch, -sh, -x, -s, -z
|
-es 붙이기
|
box → boxes, watch → watches
|
자음 + y
|
y → ies
|
baby → babies, city → cities
|
모음 + y
|
그냥 -s
|
toy → toys, boy → boys
|
f, fe로 끝남
|
f → ves / 예외도 있음
|
leaf → leaves, wife → wives / roof → roofs
|
불규칙
|
암기 필요
|
man → men, child → children, mouse → mice
|
3. 불가산명사와 수의 개념
불가산명사(Uncountable Nouns)는 이름에도 나와있듯이 셀 수 없는 명사예요. 복수형이 없고, 숫자와 함께 직접 쓸 수 없죠. 대표적으로는 물질명사나 추상명사가 여기에 포함돼요.
구분
|
예시
|
특징
|
물질명사
|
water, rice, sugar
|
개별 단위로 나누기 어려움
|
추상명사
|
happiness, information
|
감정, 상태, 개념 등
|
👉 이럴 땐 a piece of information, a glass of water처럼 단위를 함께 써줘요!
4. 수에 따른 동사 변화 (수일치)
많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이 바로 수 일치죠. 주어가 단수면, 동사도 단수! 주어가 복수면 동사도 복수! 이걸 맞추라는건데 왜 이리 함정을 만들어 놓는건지 ^^;;
주어
|
동사 (현재일때)
|
단수명사
|
동사에 -s, -es / be동사 → is
|
복수명사
|
동사 원형 / be동사 → are
|
📌 정리하자면,,,
명사의 단수/복수 구분은 영어 문법의 기본이자 핵심이에요. 단수와 복수는 단순히 명사의 형태뿐만 아니라, 명사의 수에 따라 달라지는 문법 요소들 즉, 동사, 관사, 대명사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처음에 헷갈리더라도 자주 보고 익히시면 자연스럽게 감을 잡아갈 수 있답니다^^ 😊

'영어문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운동사 1] 영어에서 가장 중요한 말! 동사(verb) (0) | 2025.04.22 |
---|---|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0) | 2025.04.21 |
명사(noun), 명사가 뭐예요? (0) | 2025.04.18 |
명사 찾는 방법 (명사를 찾아라!) (0) | 2025.04.17 |
명사 위치 =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 (0) | 2025.04.16 |